[자막뉴스] 홍콩 주권 중국반환 25주년…'자유의 불' 꺼졌다<br /><br />홍콩이 중국의 품에 다시 안긴 지 25주년을 앞둔 홍콩 거리.<br /><br />광고판이 아니면 기념일이 온 줄 모를 정도로 평소와 다름 없는 일상입니다.<br /><br />영국과 중국은 오랜 협상 끝에 1997년 7월 1일 영국령이던 홍콩을 중국에 반환하되 50년간 홍콩의 제도를 유지하기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한때 '동방의 진주'로 불렸던 홍콩은 그 약속의 반환점을 돌며 최대 격변기를 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콩은 주권 반환과 동시에 민주주의 퇴보로 직행했습니다.<br /><br />처음 약속과 달리 중국의 간섭은 계속됐고 이는 2014년 '우산 혁명'을 불러왔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2019년, 홍콩 시민들은 송환법 반대를 외치며 거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.<br /><br />[조슈아 웡 / 홍콩 민주 활동가]<br />"시진핑 주석과 캐리 람 행정장관의 억압 아래 홍콩 사람들은 침묵을 지키지 않을 것입니다. 캐리 람은 물러나야 합니다."<br /><br />경찰의 강경 진압 속에 6개월 넘게 이어진 시위로 송환법은 철회됐지만 반정부 시위에 놀란 중국 정부는 2020년 5월 홍콩 국가보안법을 전인대에서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시민단체와 노조, 반중 성향 매체들이 줄줄이 문을 닫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에는 반중국 인사의 입법부 진출을 막는 선거제 개편안이 통과됐고, 그 결과 지난해 12월 선거에서 친중 진영이 의석을 싹쓸이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올해 5월 행정장관 선거에서 2019년 시위 진압을 주도했던 존 리 당시 보안국장이 당선되면서 신공안 정국이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 존 리 / 홍콩 행정장관 당선인]<br />"향후 5년은 홍콩이 질서 회복에서 번영을 향해 전진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민주주의 퇴보와 함께 실업률은 높아지고 설상가상 코로나19까지.<br /><br />홍콩인들의 '엑소더스'가 이어졌고 외국인들도 하나둘 떠나면서 세계 최고 다국적 상업도시라는 명성도 위협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시아 금융 허브'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, 주권 반환 25주년을 맞는 홍콩을 둘러싸고 가장 많이 제기되는 질문입니다.<br /><br />(취재: 윤고은)<br /><br />#홍콩주권 #중국반환 #자유의불 #우산혁명 #일국양제<br /><br />(끝)<br /><br />